2024. 5. 30. 19:48ㆍComputer Science/Networking
- 지난 시간에 설명한 다익스트라 모시깽이 알고리즘과 DV 알고리즘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으니, 라우팅 테이블에 어떻게 수많은 인터넷 상의 라우터 정보를 저장하고 교환하겠는가?
- 또한 인터넷은 네트워크들의 집합이니, 각 네트워크의 관리자들은 특정 IP를 차단한다거나 등의 행동을 하고 싶을 수도 있다.
- 그래서 Scalable한 Routing을 위해서 특정 라우터들 끼리 Autonomous라는 명목 하게 알잘딱깔센으로 종합했으니, 이를 줄여서 AS(Autonomous Systems)라고 한다. (AS의 대표적인 예로는 ISP를 생각해 볼 수 있다.)
- AS는 intra-AS(내부)와 inter-AS(외부간)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.
- intra-AS 내부의 라우터들은 반드시 같은 도메인 프로토콜로 돌아가야 한다. (다른 AS에서는 상관 X) 그리고 AS의 "EDGE"(Network Edge의 그 Edge다.)에는 다른 AS들과 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존재한다.
- inter-AS에서는 게이트웨이들이 intra-domain routing마냥 inter-domain 라우팅을 수행한다.
- 그리고 AS 내부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으로는 RIP, EIGRP, OSPF(다잌스트라 알고리즘 기반)이 존재한다.
- 그러면 Inter-AS Routing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없을까?
BGP (Border Gateway Protocol)
- 인터넷의 접착제라고 불리우는, Inter-Domain(AS) Protocol. Subnet이 자신의 존재, 그리고 자신과 닿을수 있는 Subnet을 알려주게 한다. (이떄 BGP는 path vector에 기반함을 알아두자.)
- 크게 eBGP와 iBGP로 생각해 볼 수 있다. eBGP는 이웃 AS들로 부터 받은 서브넷 접근성을 가져오고, iBGP는 모든 AS 내부의 라우터들에게 접근 가능한 라우터의 정보를 전달한다. 그리고 경로를 결정하는 것은 접근성 정보와 정책에 달려있다.
- 이때 특이한 점으로는, Hot potato routing이라는 것이 존재한다. 만약 destination으로 가는데 두개 이상의 경로가 존재한다면, intra-domain에서 비용이 가장 작은 쪽을 선택한다. 즉 inter-domain 비용은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!
추가로, Intra-, Inter-domain을 하면서 생기는 특징은...
- 정책적 측면에서는 Inter-AS에서는 트래픽이 어디로 흘러가는지를 컨트롤 할 수 있다. (Intra-AS에서는 상관 X)
- 스케일 측면에서는 AS내외부라는 계층이 생기면서 테이블 사이즈가 줄어들고, Update 트래픽이 줄어든다. 즉, 라우터에 저장될뻔한 수많은 정보들이 담긴 테이블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었다는 말이다.
Ref : Computer Networking - A top down approach
'Computer Science > 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ultiple access protocols (0) | 2024.06.04 |
---|---|
Software Defined Networking (0) | 2024.05.31 |
Control Plane - Routing Protocols (0) | 2024.05.30 |
Data Plane - NAT, DHCP (0) | 2024.05.30 |
Data Plane - IP Datagram, Subnets (0) | 2024.05.29 |